티스토리 뷰

반응형

 삼분할 구도란? 초보자를 위한 사진 촬영 팁  5가지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지식을 알고 싶어 하는 ‘지식파르페’입니다.

요즘은 거의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어 진정한 ‘1인 1 카메라’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예전에는 카메라가 고가품에다가 무거워서 잘 가지고 다니지 못하던 시절도 있었는데요.

저도 사진을 20년 넘게 하고 있지만 카메라에 F2.8 24-70 표준 줌렌즈만 장착해도 거의 2킬로그램이 넘어가서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도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젠 이런 무거운 카메라의 시대는 서서히 저물어 가는 것 같습니다.

SNS에서 발달로 누구나 사진을 찍고 올리는데요. 그런데 사진이라는 것이 정말 직관적이기 때문에 사진을 보는 수간 “정말 좋은 사진인데”, “우와, 정말 이쁘게 잘 찍었다”라는 것이 바로 결정됩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사진을 잘 찍을 수 있을까?

1. 주제 선정

먼저 “왜 사진을 찍는지” 명확한 주제가 있어야 합니다. 그냥 막 찍으면 말 그대로 막 찍은 사진이 되는 것이고, 신경 쓰고 찍으면 정말 좋은 사진이 되는 것입니다. 주제라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지만 이렇게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이 사진을 찍고 ‘사진 제목’을 달 수 있을까? 제목을 달 수 없는 사진이라면 말 그대로 주제가 없는 사진입니다.

2. 수평 수직 맞추기

사진에서 중요하게 보는 것이 수평 수직 맞추기입니다. 어떤 피사체를 찍든지 이를 맞추지 않으면 사진이 굉장히 불안해 보입니다. 살짝 수평이 맞지 않은 사진도 이를 연장해서 보면 수평이 굉장히 틀어져 있어 보입니다. 수평과 수직은 사진의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물론 작품 사진을 찍을 때는 이를 조금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과감한 클로즈업 샷이나 주제가 크게 부각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말입니다.

수평 수직이 중요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사진 앱에 이를 보정하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습니다.

3. 10% 여백 두기

어느 피사체를 촬영하든지 간데 사진 끝에 어느 정도 여백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인물 사진의 경우 사진 테두리에 거의 닿아 있거나 이 테두리를 넘어 얼굴이 잘려버린다면 좋지 않은 사진이 될 것입니다.

4. 자연스러운 포즈 취하기

사진은 인위적인 포즈보다 자연스러움이 묻어나는 장면을 포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자연광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인물사진 찍을 때는 수평선이나 지평선 인위적인 선 등이 목 부위를 지나가지 않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이런 사진은 직접 보면 보기에도 좀 섬뜩한 감이 들겠죠?

5. 삼분할 법

사진에도 제일 중요한 것이 구도입니다. 구도의 가장 기본은 삼분할법인데요. 이건 스마트폰 사진 촬영에서도 역시 가장 중요한 핵심 중의 핵심입니다. 삼분할 구도는 화면을 가로 세로로 똑같이 삼분할해서 4개의 교차점에 주 대상(피사체)을 놓는 것입니다. 초보자일 때는 그냥 삼분할에 맞춰만 찍어도 어느 정도 근사한 작품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 삼분할 구도는 인물, 풍경, 제품 사진에 두루두루 쓰입니다.

이게 삼분할 법(삼분할 구도)입니다. 내가 원하는 주제나 피사체를 이 교차점에 두고 여백의 미를 살리면 좋습니다.

삼분할 법, 삼분할 구도라고도 한다. 피사체를 교차점에 위치해 두고 촬영하면 자연스러운 사진이 됩니다.

오늘은 사진 촬영 관련해서 몇 가지 꿀팁을 알려드렸는데요. 어떠셨나요?위 내용만 숙지하셔도 누구나 사진을 잘 찍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떻게 해야 사진을 잘 찍을 수 있을까? 개인적인 견해로는 ‘피사체에 관한 관심과 관찰’입니다.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잘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예로 들어볼까요?

이 사진의 주제는 연꽃입니다. 이 연꽃을 좌측 삼분할 선 상단 교차점에 두고 우측 교차점에는 엄마와 아이를 배치했습니다.

모녀가 가리키는 것은 연꽃이죠. 여기서 엄마가 손을 가리키지 않았다면 그냥 밋밋한 사진이 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모녀는 주제-연꽃을 더 돋보이게 하는 부제라 할 수 있습니다.

연꽃을 바라보는 모녀. 사진 출처 본인.

참, 여러분만의 사진 촬영 꿀팁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